그야말로 ‘끝장’의 순간 – STRIKE 코인의 몰락 드라마
2025년 8월 21일, 가상자산 시장에 또 하나의 충격파가 울려 퍼졌습니다. 바로 **STRIKE(스트라이크) 코인의 국내 거래소 상장폐지 사건인데요, 이건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끝판왕급’ 투자 리스크의 실체를 보여준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몇 달 전만 해도 STRIKE는 자신만만했습니다. 하지만 7월, 업비트가 해당 코인을 거래 유의 종목으로 지정한 것을 시작으로, 모든 것이 급격하게 틀어졌습니다. 운영 투명성, 공시 부족, 사업 지속 가능성 미흡이라는 이유였죠. 이어진 **DAXA(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의 심의에서도 탈락, 결국 8월 21일 오후 3시 상장폐지가 확정된 것입니다.
왜 이렇게 됐을까? STRIKE의 몰락 배경
- 공시 부족 + 사업 실재성 의문, 업비트는 이를 근거 삼아 거래 유의 종목 지정부터 시작했습니다.
- DAXA는 더 나아가 "운영 주체의 불명확성과 지속 가능성 부족"이라는 이유로 거래지원 종료를 결정했습니다.
상폐 전 슬랩댄스? ‘상폐빔’ 폭등 현상
참… 재밌는 현상도 있었습니다. 상폐를 앞두고 STRIKE는 믿을 수 없는 가격 폭등을 연출했어요. 이른바 **‘상폐빔’**입니다.
- 7월 22일, 해당 공지 직후 빗썸에서 64%, 일부 시간엔 120%까지 치솟았고
- 7월 23일에도 업비트 기준으로 24시간 전 대비 23% 상승, 대체 이게 뭐니!
이게 다가 아니죠. 8월 18일, 상폐 D‑3일, 24시간 새 40% 폭등! 단기 투기 세력이 몰려든 결과였습니다.
절체절명의 폭락 – 상폐 직전 가격 곤두박질
그렇다면 상장 폐지 직전 가격은 어떠했을까요?
- 8월 21일 오후 2시 30분, 무려 90% 이상 폭락한 수준이었어요.
- 그리고 바로 15시, 거래 종료 시점에 이르자 -93.09%, 438원까지 추락했습니다.
이게 끝이었습니다. 극단적 폭등으로 시작해 99% 가까운 폭락, 말 그대로 ‘롤러코스터’ 그 자체였습니다.
출금 여부는? “끝나도, 끝이 아니다” – 제한적 출금 지원
다행히(흔하게 말하기는 그렇지만) 거래지원은 종료됐지만, 출금은 한 달간 가능했습니다. 2025년 9월 22일 오후 3시까지죠. 하지만 그 이후 입금이나 환불은 사실상 불가능, 투자자는 ‘마지막까지 발만 동동구르는’ 처지였던 겁니다.
이번 사건, 시사점 짚어보기
① 상폐 코인의 단기 급등을 경계하라
‘상폐빔’은 투자자 심리를 자극하는 유혹의 덫입니다. 단타 세력들이 물량 집중하면서 폭등—폭락 연쇄가 일어나죠. 실제로 전문가들은 “비정상적 급등 후 대규모 손실 리스크”라고 경고했습니다.
② 거래소 공지는 리스크 시그널
유의 종목 지정 단계부터 이미 경고입니다. 채널이나 공시만 보고 섣불리 대응하면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공시 하나하나 놓치지 않는 게 필수입니다.
③ 프로젝트의 내재력과 소통성을 꼼꼼히 따지자
디어(DeFi) 플랫폼이나 거버넌스 토큰이라 해도, 개발 로드맵, 커뮤니티 소통, 지지 기반이 있어야 살아남습니다. 이번 STRIKE처럼 정체된 운영+소통 부재는 곧 리스크로 직결됐습니다.
④ 출금 지원 일정 확인은 필수
거래지원이 종료된다고 해서 “끝이다”가 아님을 명심해야 합니다. 출금 기한을 놓치면 회수 불가능, 복구도 매우 난망하죠.
요약 테이블: 한눈에 보는 STRIKE 파란만장 여정
구분 | 내용 |
상폐 공지 | 2025년 7월 유의종목 → DAXA 상장폐지 발표 |
상폐 일자 | 2025년 8월 21일 오후 3시 |
상폐빔 폭등 | 7월 22일 ~ 8월18일, 23% → 120% → 40% 폭등 |
상폐 직전 폭락 | 8월 21일 오후 2시 30분부터 90%,최종 93% 이상 |
출금 지원 | 2025년 9월 22일 오후 3시까지 가능 |
핵심 교훈 | 공시/소통/투명성 중요한 리스크 관리 기준 |
신청할 수 있는 곳도 있나요?
현재 STRIKE 관련 공식 신청·이의 제기 페이지는 공개된 바 없습니다. 다만, DAXA 회원사 공시 페이지나 거래소(업비트, 빗썸)의 고객센터 또는 공지 게시판이 유일한 공식 소통 창구가 될 수 있죠. 가령 출금 관련 문의나 공시 확인은 해당 거래소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경제읽기, 혜택챙기기, 돈모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외국인 부동산 규제 강화: 수도권 주택, 2년 실거주 의무와 사전 허가 전면 도입” (1) | 2025.08.22 |
---|---|
2025년 6·27 전세대출 규제, 입주 앞둔 서울 분양단지 '대혼란'… 청약시장 실수요자 중심 재편되나? (1) | 2025.06.30 |
2025년 7월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 확정! 누구에게 얼마나 오를까? (0) | 2025.06.29 |
수도권 주담대 6억 원 제한 시행! 2025년 부동산 규제 대책 총정리 (0) | 2025.06.27 |
🧾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지나면? 기한후신고 A to Z (0)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