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6 수도권 주담대 6억 원 제한 시행! 2025년 부동산 규제 대책 총정리 2025년 6월 28일부터 수도권 및 규제지역을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대한 강력한 규제 조치가 시행됩니다. 이번 대책은 서울 집값 급등에 따른 가계부채 관리의 일환으로, 실수요자 보호와 투기 억제를 목표로 마련되었습니다. 특히 갭투자 차단과 다주택자 대출 전면 금지가 핵심이며, 사실상 수도권에서 '대출로 집 사기'는 더욱 어려워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정책 추진 배경: 왜 지금인가?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주담대가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기준금리 인하(3.5% → 2.5%)와 토지거래허가제 해제(2025.2.12~3.23)가 맞물리면서, 특히 수도권 주택 매매에 대출 수요가 쏠렸습니다.금리 인하: 2025년 4월 기준 은행 주담대 금리는 평균 3.98%로, 전년 대비 0.32%P.. 2025. 6. 27. 🧾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지나면? 기한후신고 A to Z ⏰ 1. 종합소득세 신고의 의미와 대상종합소득세는 근로·사업·기타·배당·이자 등 모든 소득을 합산해 신고하는 연간 정산 시스템입니다.2025년 6월 2일(2024년 귀속 기준)까지였던 신고기간이 종료되면, 기한후신고 절차로 전환됩니다.📌 2. 기한후신고, 언제까지 가능한가?세무서가 통지하기 전이라면 아직 자진신고 가능합니다.통지 후에도 신고는 허용되나, 가산세 감면 혜택이 줄어듭니다. 💸 3. 기한후신고 시 붙는 가산세 구조3‑1. 무신고 가산세신고를 안 하면 납부세액의 20% (과소/초과신고는 10%, 복식미기장도 20%)가 부과됩니다.복식부기 의무자의 경우 부정신고 시 최대 40~60%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3‑2. 납부지연 가산세미납 세액 × 지연일수 × 0.022% (연 약 8%)로 계산되며.. 2025. 6. 18. 🏛️ 2025 전국민 민생회복지원금, “최대 50만 원” 차등 혜택 임박 6월 19일 열리는 2차 추경 국무회의를 앞두고, 이재명 정부의 민생회복지원금 방안이 막판 조율 단계에 돌입했습니다. 규모는 총 20조 원 이상, 이 중 민생지원금에만 약 13조 원이 배정될 예정입니다. 1. 기본 구조: 전 국민 지급 + 소득별 차등 지급✔️ 전 국민 15만 원 기본 지급기획재정부는 모든 국민에게 1인당 15만 원을 기본으로 지급하는 안을 보고한 상태이며, 대통령실 역시 "전 국민 지급" 원칙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취약계층 추가 지급 대상 기본금 추가 지급 총액 소득 상위 10%15만 원없음15만 원일반 국민15만 원10만 원25만 원차상위·한부모15만 원25만 원40만 원기초생활수급자15만 원35만 원50만 원 차상위·한부모 가정: 총 40만 원 (기본 + 25만 원 추가).. 2025. 6. 17. 📢 [2025 소상공인 희망리턴패키지 재창업지원금] 최대 2,000만원, 지금 기회입니다! 🧭 한 눈에 보는 핵심 정리 항목 내용 지원금 총액최대 2,000만 원 (정부 2,000 + 자부담 2,000)자부담 구성현금 600만 원 + 현물 1,400만 원 (임대료·인건비 등 증빙 가능)신청 기간2025년 5월 29일(목) ~ 6월 19일(목)지원 대상아래 두 조건 중 하나 충족 시 가능 - ① 2024년 1월 1일 이전 개업한 소상공인이며, 2023→2024년 매출 10% 이상 감소 - ② 최근 3년 이내, 또는 특별재난·특별지원지역에 사업장 있는 소상공인절차진단신청 → 경영진단 → 사전교육 → 선정평가(서류·발표) → 최종선정 → 협약 → 사업 추진가점 노하우- 채무 성실 상환 +5점- 고용보험 가입 +3점- 여성·균형 등 추가 가점 가능지원 내용- 최대 2,000만 원 사업화 자금- 빅데.. 2025. 6. 13. 🏠 “2억으로 10억 아파트, 이렇게 가능해진다” 지분형 주택담보대출 완전정복 2025년, 집값 부담 덜고 내집 마련 가능성 높이는 정책2025년 하반기부터 **지분형 주택담보대출(모기지)**이 도입됩니다. 집을 **단독으로 사는 게 아니라, 정부(주택금융공사)가 일부 지분을 투자하여 집을 공동소유’**하는 구조로 실수요자의 자금 부담을 줄여주는 제도입니다.예) 내가 60% 지분, 정부가 40% 지분 → 집값 상승/하락 시 수익과 손실도 지분대로 나눔. 지분형 모기지 핵심 구조기존 vs 지분형, 뭐가 다른가?기존 주담대:집 100% 내가 소유대출로 전액 상환 + 이자 부담지분형 모기지:집의 일부(최대 40%)를 정부 지분으로 투자실사용자는 지분 비율만큼 **‘사용료(월세 개념)’**만 납부집값 상승·하락 시 지분대로 결과 분배실제 예시 숫자로 확인10억 원짜리 아파트 기준 요소 기.. 2025. 6. 12. 🚀 2025년 청년도약계좌: “정부가 도와주는 9%대 고금리 적금, 지금이 기회!” 청년도약계좌, 왜 2025년이 더 특별할까?2025년, 청년도약계좌가 드디어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이건 그냥 적금이 아니라, 청년 맞춤형 재테크 플랫폼!”이라는 말이 절로 나올 정도로 혜택이 풍성해졌어요.월 최대 3만 3,000원의 정부 기여금!부분 인출 · 중도해지 유연성 보완신용점수 최대 +10점 자동 가점이자소득 100% 비과세 유지우와, 이정도면 “왜 아직 안 만드셨나요?”라고 묻고 싶을 정도입니다. 정부 기여금이 월 3.3만원으로 껑충!2024년, 월 2.4만원까지 지원되던 정부 매칭금이 2025년부터 3.3만원으로 확대됐습니다.그뿐 아니라, 월 납입 한도 또한 40만~60만 원 구간에서 최대로 끌어올려 월 70만원까지 정부 매칭 대상이 되었습니다.예: 연 소득 2,400만 원 이하인 경우7.. 2025. 6. 10. 이전 1 2 3 4 5 ··· 8 다음